본문 바로가기
독서/사회+과학

레이첼 카슨 침묵의 봄 요약 비판

by 오리아 2022. 6. 27.
반응형

침묵의 봄 사진
침묵의 봄

 

며칠 전 레이첼 카슨의 '침묵의 ' 읽었다. 저자 레이첼 카슨은 1962년 출간된 '침묵의 봄'에서 1차 세계대전 이후 살충제나 제초제로 유독물질이 광범위하게 사용되던 당시 상황을 경고했고 이는 당시 미국에서 환경운동이 확산한 계기가 되었다. 또한 레이첼 카슨은 '침묵의 봄'에서 전문적인 내용을 대중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서술하였다. 
 


목차

  1. 내일을 위한 우화
  2. 참아야 하는 의무
  3. 죽음의 비술
  4. 지표수와 지하수
  5. 토양의 세계
  6. 지구의 녹색 외투
  7. 불필요한 파괴
  8. 새는 더 이상 노래하지 않고
  9. 죽음의 강
  10. 공중에서 무차별적으로
  11. 보르자 가문의 꿈을 넘어서
  12. 인간이 치러야 할 대가
  13. 작은 창을 통해서
  14. 네 명 중 한 명
  15. 자연의 반격
  16. 밀려오는 비상사태
  17. 가지 않은 길

주요내용

 

DDT

침묵의 봄이 쓰인 배경을 이해하려면 DDT에 대해 간략하게 알 필요가 있다. 다음은  DDT에 대한 위키백과의 소개이다.

DDT는 잘 알려진 살충제 중 하나로 제2차 세계 대전 때 말라리아, 장티푸스를 일으키는 모기의 구제와, 군대와 민간에서 여러 곤충으로 인해 일어나는 질병의 구제에 사용되었다. 전쟁이 끝나고, DDT는 농업분야에서 살충제로 쓰이게 되었고, 곧 생산과 사용이 급한 상승세를 보이게 된다.

DDT는 체내에서 지방과 결합해 축적되는 특징이 있다. 반감기는 2~15년으로 한번 살포되면 자연에 오랫동안 잔류한다. 

 

 

생물 농축

 

생물농축은 먹이사슬의 위로 올라갈수록 몸속에 쌓인 화학물질의 농도가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가는 현상을 의미한. 레이첼 카슨은 그의 저서에서 생물농축의 예로 플랑크톤-물고기-갈매기로 구성된 먹이사슬을 제안하는데 상위 포식자로 갈수록 엄청난 양의 화학물질이 축적된다. 당연히 먹이사슬의 정점에 위치한 인간은 생물농축 현상이 더 강하게 나타날 것이다. 

 


생물학적 방제

레이첼 카슨은 화학물질의 대안으로 몇 가지를 제안했는데 그중 한 가지가 생물학적 방제이다. 생물학적 방제란 특정 생물을 이용해서 해충 잡초 등을 방제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레이첼 카슨은 환경을 오염시키고 내성을 일으키는 살충제보다 오히려 생물학적 방제가 효과적일 있다고 말한다. 오리나 무당벌레를 풀어서 해충을 막는 방식도 생물학적 방제의 일종이다.

 


요약

레이첼 카슨의 침묵의 봄은 DDT 같은 화학물질 농약에 대한 생물학적 피해를 설명하고 이런 유독물질의 사용을 줄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여러 예시들을 통해서 이런 농약들이 우리 인체에 장기적으로 어떤 피해를 주는지와 자연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설명한다. 저자는 이런 화학물질들의 사용을 줄여 자연에 폐를 끼치지 않는 쪽으로 방향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한다.


비판

침묵의 봄은 대중들의 환경오염에 대한 인식을 높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지지만 한편으로는 여러 비판의 대상이기도 하다. 침묵의 봄에 대한 대표적인 비판 2가지는 다음과 같다. 

1) DDT의 인체 유해성이 증명되지 않았다.

카슨은 DDT가 인체에 암을 유발하고 치명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 말했다. 하지만 DDT는 사용이 금지되던 1970년까지 약 20년 가까이 대량으로 사용됐지만 DDT 독성으로 사망한 환자 보고는 없었다고 WHO는 밝혔다.

 

2) 침묵의 봄은 DDT의 대안을 제시하지 못했다.

DDT가 살충제로 사용되었을 때부터 DDT의 독성은 알려져 있었다. 제3세계에서 질병과의 싸움은 비용 대비 효용이 굉장히 중요한 문제고 그 관점에서 DDT를 대체할 만한 물질을 찾지 못했기 때문에 DDT가 널리 쓰였던 것이다. 그러나  DDT 사용을 금지할 때 DDT가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사람들의 목숨을 말라리아 발진티푸스로부터 보호한 사실은 무시되었고 이로 인해 빈곤한 국가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말라리아로 사망했다.

 


리뷰

레이첼 카슨은 <침묵의 봄>이 출판되는 것을 화학 회사가 끊임없이 방해했다고 말한다. 그리고 책을 집필할 당시 레이첼 카슨은 암을 진단받은 상태였다고 한다. 그런 상황에서 대중들에게 위험을 경고하기 위해 끝까지 연구를 계속해 책을 출간했다는 것이 대단하다. 현재에 와서 여러 비판을 받고 있지만 그럼에도 그 당시 환경오염에 대한 인식조차 없었던 대중들에게 그 위험성을 최초로 경고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반응형

댓글